목록📚 Study/Database (3)
jiiheee's 개발 일지

SELECT 데이터베이스에 table을 저장했다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회사에 있는 모든 직원의 이름을 알고 싶다면 직원 명단 table에서 name이라는 column만 추출해서 보게 된다면 모든 직원의 이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데이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SELECT문을 사용해야 한다. SELECT문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최소한 두 가지 정보는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무엇을 가져올지 그리고 어디에서 가져올지가 그것이다. number name gender age 1 스폰지밥 남 21 2 다람이 여 24 3 징징이 남 27 4 집게사장 남 43 위의 테이블은 employee_list이다. 앞서 예시를 들었던 직원들의 이름을 알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SQL을 ..

테이블: 특정한 형태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데이터들을 관련 있는 주제로 묶어서 보관하는 것이 효율 적이다. 예를 들어 파일 캐비닛에 정보를 저장한다고 가정해 보자. 캐비닛에 있는 많은 정보들을 랜덤 하게 묶어서 보관하지 않고 주제를 정하고 관련 있는 파일끼리 묶어서 보관한다면 더 효율 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이라고 부른다. 테이블은 특정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화된 파일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테이블은 한 가지 종류이거나 목록이라는 것이다. 테이블은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저장할지 정의하는 여러 데이터 구조와 속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조와 속성에는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쪼개 저장하고, 조각의 이름..

우리 주변에는 많은 데이터들이 존재한다. 가게에서 팔고 있는 상품의 이름이나 가격, 달력의 날짜나 예정 일자 등 하나하나 존재하는 정보를 데이터라 부른다. 이러한 데이터가 대량으로 존재하거나 흩어져 있다면 취급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데이터를 어느 한 곳에 정리해서 모아두면 언제든지 보고 싶은 정보를 빠르게 꺼내 볼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사실을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데이터를 모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 데이터의 정렬 및 검색 가능 - 데이터의 모순 방지 - 데이터 복구 가능 - 접근권한 설정이나 데이터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 데이터베이스의 예시 케이크 가게로 예를 들어보자. 케이크에 대..